BACK TO GRAPHIC




할아버지: AK-UH

Poster, Year: 2018, Individual Work 

내 고향 군산, 월명산 저수지는 식수 공급을 위해 건설했지만, 현재는 세월이 흘러 시민을 위한 공원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곳에는 초록색 악어가 살고 있습니다. 

학교를 마친 느즈막한 오후에 저는 할아버지와 함께 월명산 저수지에 갔습니다. 산 입구 번데기 할머니에게 배꼽 인사를 하고, 나무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청설모를 따라 저수지의 둘레를 산책했습니다. 땀을 쏟으며 신이 나게 뛰다 보면 해는 뉘엿뉘엿 저물고 저와 할아버지는 어느새 저수지의 반대편에 있었죠. 집에 돌아갈 때에는 늘 갈대 늪의 통나무 징검다리를 건넜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바로 초록색 악어가 살았어요. 통나무 징검다리를 건너며 행여나 악어에게 잡아먹힐까 조심조심 노래를 부르며 건넜습니다. "정글 숲을 지나서 가자. 엉금엉금 기어서 가자, 늪지대가 나타나면은, 악어떼가 나올라. 악어떼!" 노래를 두 번쯤 부르고 나면 건너편에 도착해 있었습니다. 그렇게 저는 악어에게 한 번도 들키지 않았어요.

해가 지나면서 저는 점점 할아버지와 보내는 시간보다는 친구들과 지내는 시간을 즐거워했습니다. 그렇게 이제는 저의 월명산 저수지에는 초록색 악어가 살지 않았고 저는 그 무렵 책을 통해 악어는 초록색이 아니라 거무스름한 색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성인이 되고 할아버지는 나와의 월명산 저수지에서의 기억들을 꺼내어 말씀하셨습니다. “작은 입으로 동요를 조잘조잘 부르며 징검다리를 건너곤 했었지.” 아, 할아버지의 월명산 저수지 갈대 늪에는 아직도 초록색 악어는 살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통나무 징검다리 대신 튼튼한 목재로 만들어진 다리가 자리 잡고 있는 갈대 늪에는 아직도 초록색 악어가 살고 있었습니다.

할아버지는 이제는 번데기 할머니가 계시지 않는 입구를 지나 나무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청설모를 먼저 보내고 저수지 둘레길을 따라 적막히 걸으시다 동요가 맴돌고 있는 갈대늪을 마주하셨겠죠. 그리고 할아버지는 우리의 초록색 악어를 천천히 지나쳐 다시 집으로 돌아오셨을 것입니다. 초록색 악어를 천천히, 초록색 악어를 애써 지나며.

내 고향 군산, 할아버지의 월명산 저수지에는 아직도 초록색 악어가 살고 있습니다.


My hometown Kunsan, Wolmyeongsan Mtn. Reservoir were built to supply drinking water, but now, over the years, it has become a park for citizens. And there are green crocodiles living there.

after school, I went to the Wolmyeongsan Mtn. Reservoir with my grandfather. I said hello to the street vendor old woman at the entrance of the mountain, and took a walk around the reservoir along the squirrel climbing and descending trees. As I sweated and ran excitedly, the sun set and my grandfather and I were on opposite sides of the reservoir. On our way home, we always crossed a stepping log in a reed swamp. Then there lived a green crocodile. It crossed the log stepping stone, singing carefully to avoid being eaten by any crocodile. "Let's crawl through the jungle. If a swamp appears, there will be a swarm of crocodiles. Crocodiles!" I was across the street after singing about two times. Like that, I've never been caught by any crocodile.

As the years went by, I increasingly enjoyed spending time with my friends rather than with my grandfather. So, there were no green crocodiles in my Wolmyeongsan Mtn. Reservoir, and I learned from a book around that time that crocodiles were not green, but dark.

When I became an adult, my grandfather brought up his memories of the Wolmyeongsan Mtn. Reservoir with me. "You used to cross the stepping-stone bridge, chattering children's songs with your tiny mouth." Oh, there were still green crocodiles living in the reed swamp of his Wolmyeongsan Mtn. Reservoir. There were still green crocodiles living in the reed swamp, which now houses a sturdy wooden bridge instead of a stepping-log.

He must have passed through the entrance where the street vendor old woman was no longer present, sent up the squirrel climbing and descending trees first, walked silently along the reservoir, and encountered a reed swamp where children's songs were hovering. And he must have slowly walked past our green crocodiles and come back home. Slowly through the green crocodiles, struggling through the green crocodiles.

My hometown Kunsan, my grandfather's Wolmyeongsan Mtn. Reservoir still has a green crocodile living there.


Miss You, My Grandpa.
1940.05.09 ~ 2023.07.01, R.I.P






PREVIOUS